알레르기비염과 부비동염의 관련성

Woman blowing her nose

알레르기비염은 부비동염(축농증)과 관련이 있으며, 심지어는 부비동염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으로 코 점막이 붓게 되면 콧물이 축적되기 좋은 환경이 되어 부비강에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대량 증식을 촉진하는데, 이것이 바로 축농증의 특징입니다¹.

이러한 이유로 코막힘과 콧물 축적이 동반되는 증상²이 지속되면 환자들은 자신이 단순한 알레르기비염이 아닌 부비동염에 걸렸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레르기 비염과 축농증을 혼동하지 않도록 각 질환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구별해야 합니다. 두 질환의 차이점과 치료 방법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이 기사에서는 다음의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이란?


알레르기비염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 몸이 먼지, 진드기, 곰팡이, 곤충, 꽃가루, 동물의 털 등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과 접촉하면 나타나게 됩니다. 즉, 알레르겐이 코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며 증상이 발현됩니다.

알레르기비염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1

  재채기

  코막힘

  맑은 콧물

  눈, 코 가려움증

  눈물

알레르기비염의 예방 및 치료 방법

알레르기비염의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집 청소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먼지가 쌓이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먼지는 일부 알레르기 유발 성분 외에도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미생물인 진드기의 서식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침구류를 정기적으로 바꿔주는 것 또한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진드기는 섬유조직에 붙은 각질을 먹이로 삼아 침구류에서 서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3

또한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면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완화됩니다. 알레그라®는 펙소페나딘이 주성분인 3세대 항히스타민제4-7로, 졸음 유발이 적고8 빠르게 효과가 발현되어9 효과적으로 알레르기비염 증상을 개선해줍니다.10 다만 증상에 따라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지는 의사 또는 약사와의 상담을 권장합니다.

부비동염(축농증)이란?


비부비동염이라고도 불리는 축농증은 비강 및 부비동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축농증을 일으키는 요인에는 알레르기 물질의 흡입, 바이러스, 세균 또는 곰팡이 감염 등이 있습니다.11

축농증은 급성인 경우 지속 기간이 12주 미만이며, 만성인 경우 증상이 더 오랜 기간 지속됩니다.11

축농증의 증상은?2

  코막힘

  코의 분비물

  후각의 상실 또는 저하

  발열

  감염부위의 압박감

  발열(급성 축농증의 경우 더욱 일반적)

바이러스성 축농증이 가장 일반적이고, 이 중 많게는 10%가량이 세균성 감염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증상이 10일 이상 지속되거나 5일 후 악화되면 의료진은 세균성 감염으로의 진행을 의심하기 시작합니다.11

축농증 치료 방법

축농증 치료는 알레르기비염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는 알레르기에 의해 축농증이 나타난 경우에 작용하기 때문입니다.2

세균성 감염에 의한 축농증의 경우, 특정 항생제를 사용이 필요할 수 있으며, 항상 의료진의 상담에 따라 이루어져야 합니다. 전문의는 축농증 치료를 위해 단기간의 코막힘 완화제(나잘 스프레이) 처방과 더불어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코를 세척하도록 권장할 수 있습니다.2


    1. Official Body of the Brazili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 and Head and Neck Surgery. IV Brazilian Consensus on Rhinitis. Brazil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Available at: https://www.aborlccf.org.br/imageBank/consenso-Rinite-4-01-11-2017.pdf. Retrieved May 27, 2020. 


    2. Osguthorpe. J.D. Adult Rhinosinusitis: Diagnosis and Management.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harleston, South Carolina.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1 Jan 1;63(1):69-77.


    3. Fassio, F., Guagnini, F. House dust mite-related respiratory allergies and probiotics: a narrative review. Clinical and Molecular Allergy, jun 19 - 16: 15. doi: 10.1186/s12948-0180092-9


    4. Mark E et al.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2nd and 3rd gen antihistamines. ANNALS OF ALLERGY, ASTHMA & IMMUNOL. 2010.104;518–522


    5. Fein MN et al. CSACI position statement_Newer generation H1-antihistamines (3rd generation) are safer than first-generation H1-antihistamines. Allergy Asthma Clin Immunol. 2019.15(61);1-6


    6. Anne K et al. Second-and third-generation antihistamines. DERMATOLOGIC THERAPY. 2000.13;327–336


    7. Thomas B et al. Next generation antihistamines therapeutic rationale accomplishments and advances. Expert Opinion on Investigational Drugs. 2002.11(6);807-817


    8. Smith SM et al. Fexofenadine: biochemical,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properties and its unique role in allergic disorders. Expert Opinion on Drug Metabolism & Toxicology. 2009;5(7);813-22


    9. Day J H et al. Onset of action, efficacy, and safety of a single dose of fexofenadine hydrochloride. Ann Allergy Asthma Immunol. 1997.79;533-540.


    10. Van Cauwenberge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safety and quality of life provided by fexofenadine hydrochloride 120 mg. Clin Exp Allergy. 2000. 30(6);891-899


    11. Brazilian Guidelines on Rhinosinusitis. Brazil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São Paulo - 2008 - vol.74 nº2. Available at: http://www.scielo.br/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034-72992008000700002. Retrieved May 27, 2020.

    [Study Design9] This study was of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parallel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time to onset of clinically important relief of symptoms of allergic rhinitis in subjects taking single doses of either 60 mg or 120 mg fexofenadine HCl, or placebo, after exposure to ragweed pollen in a controlled environment. Other objectives were to assess the efficacy and safety of single doses of fexofenadine HCl.

    [Study Design10] This was a multinational, multicentre, double-blind, parallel group,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Following a placebo run-in phase of 3±7 days (the baseline period), patients with SAR were randomized to receive one capsule of either fexofenadine HCl 120mg(n=232), loratadine 10mg(n=228), or placebo(n=225), once each morning for 14 days. The primary efficacy parameter was the change in the mean 24-h reflective TSS during the double-blind treatment period from that during the baseline period.


※3세대 성분들의 경우, 2세대의 개선 성분으로 2세대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MAT-KR-2301160-v1.0-07/2023